옛날 경상도의 어느 절 뒷산에 곰이 한 마리 살았다. 이 곰은 가끔 절 마당에 내려와 스님들이 주는 누룽지를 얻어먹기도 하고 절 마당을 어슬렁거리며 다니기도 했다. 자비로운 스님들은 이 곰을 잘 보살펴 주었는데, 곰이 원래 흉내를 잘 내는 짐승이라 그런지 스님들이 참선을 하고 있으면 곰도 마루에 올라앉아 참선하는 흉내를 내곤 했다.
어느덧 곰은 수명이 다해서 죽게 되었는데, 인연의 힘으로 사람의 몸을 받아 그 절에 다시 와서 살게 되었다. 전생이 곰이었던 탓인지 생김새가 꼭 곰을 닮아서 스님들은 그를 곰 '웅'자를 써서 웅행자라고 불렀다. 이 웅행자는 심성이 착하고 기운도 세서 절의 허드렛일을 도맡아 했다. 그러던 어느날 절의 후원에서 공양을 짓던 웅행자는 아궁이의 불이 자신의 짚신에 옮겨붙는 줄도 모르고 깊은 염불삼매에 들어 있었다.
마침 지나가던 조실스님이 '미련한 곰아, 네 발이 타는 줄도 모르느냐' 하시며 부지깽이로 머리를 쳤다. 순간 웅행자는 자신의 전생과 불법의 큰 공덕을 확연히 깨닫고 눈물을 흘리며 법당을 향해 절을 했다. 그리고는 기쁨에 넘쳐 이렇게 외쳤다.
"천번 나고 만번 죽음이여, 이 일을 언제야 다할 것인가. 가고오고 오고가면서 무거운 짐만 더하더니 오늘 아침 비로소 대장부의 큰 일을 마쳤구나."
그후 웅행자는 정진을 거듭하여 선지식이 되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웅행자처럼 불교에서 설명하는 인간은 인과의 존재이며 무시 이래 세세생생의 숙업체(宿業體)이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는 《숫타니파타》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세간은 업에 의해 존재하고 사람들도 업에 의해서 존재한다. 모든 생명있는 것들은 업에 매여져 있다. 마치 소가 끄는 수레가 밧줄에 매여 있는 것과 같다.
'붓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번뇌의 경' 중에서 (0) | 2017.03.24 |
---|---|
37가지 깨달음에 도움이 되는 원리 (0) | 2017.03.19 |
혜수스님 수행이야기 (0) | 2017.03.06 |
위빠사나 수행의 길 (0) | 2017.02.19 |
유마거사와 승만부인 (0) | 2017.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