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초에 수덕사에서 경험했던 환희심으로 출가생각이 잠시 들었으나, 다음생에 남자로 태어나 출가하고싶다는 생각이 줄곧 들었다.
그런데 문득, 내가 다음생에 태어나고싶다고 한들 과연 그게 가능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스님들께 들었던 말씀 중에 인간 몸 받기가 무척 어렵고 소중한거라는 이야기도 있었고..
이번 생이 마지막인 것처럼,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게으르지 않고 수행정진해야하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처님께서 인간 몸 받기가 어느 정도로 어렵다고 하셨느냐 하면, 손에 한줌 흙을 쥐시고
"아난아, 이 손안에 든 흙이 많느냐, 아니면 땅위에 있는 흙이 더 많느냐?" 라고 물으시자
이 때 아난존자가
"세존이시여, 그건 비유할 수조차도 없이 땅위에 있는 흙이 많지 않습니까," 라고 대답하자
다시 부처님께서
"그와 같이 중생들이 인간 몸을 받는다는 것은 마치 손에 들어있는 한 줌 흙과 같고 지옥, 아귀, 축생의 삼악도에 떨어지는 것은 마치 땅위에 있는 흙과 같느니라." 라고 하셨다.
또 초발심 자경문에 나와 있는 비유로는 '맹구우목(盲龜遇木)' 이라. 즉, 눈먼 거북이가 태평양 저 깊은 바다 속에서 삼천년에 한 번씩 수면위로 올라오는데, 바다 위에 둥둥 떠다니는 널빤지를 만날 수 있는 확률이라는 이야기다. 널빤지가 한 자리에 있지도 않고 물결 따라서 계속 흘러 다니는데 어떻게 그 널빤지를 만날 수 있겠나?
그것도 자주 물위로 올라오는 것도 아니고 3천년에 한 번씩 올라온다는데, 거기다가 눈까지 먼 봉사 거북이라니
이처럼 우리가 인간의 몸을 받는 것은 참으로 희유하며 어렵고도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그런데 이처럼 어렵사리 받은 사람의 몸을 너무나 안일하게 보내버린다는 것이 말이 되나?
또 다음생 운운하는데 다음생을 어떻게 기약하나?
오죽하면 옛 스님들의 시구에 '삼계유여급정륜 백천만겁역미진 차신불향금생도 갱대하신도차신' 이라 즉 '삼계가 마치 우물 푸는 두레박줄과 같아 백천만겁의 한량없는 세월을 윤회해 왔도다.
만약 이번 사람 몸 받았을 적에 이 몸을 제도하지 못한다면, 다시 어느 생에 또 인간 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그때 가서 또 어떻게 불법을 만나고 정법에 의지하여 윤회로부터 벗어날 수 있겠는가!' 라고 하시면서 인간 몸 받았을 때 자신을 제도하여야 된다고 읊으신 내용을 볼 수가 있다.
그렇다면
첫 번째 '왜 이렇게 인간 몸을 받기가 어려우며'
두 번째 '인간 몸을 받으려면 어떻게 살아가야 하며'
세 번째 '어떻게 해야 자신을 제도(윤회로부터 벗어남) 할 수 있을 것인가'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첫 번째, 중생들이 인간 몸을 받기 어려운 까닭은 온갖 욕망을 저버리지 못하고 욕망에 끄달려 한평생을 살아가기 때문이다. 입으로는 불도를 이야기하고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라 하지만,
실제 눈앞에 벌어지는 오욕락의 경계를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인간은 인간의 마음자리를 가꾸어 나갈 때 인간의 몸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마치 천만 원어치 저축을 한 사람은 천만 원짜리 자가용을 살 수 있지만, 백 만원 밖에 저축하지 못한 사람은 백만 원짜리 오토바이 밖에 살 수 없으며, 심지어 한 푼도 돈을 모으지 못하고 빛을 진 경우에는 자전거 한 대도 사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다른 사람 밑에서 그 빛을 다 갚을 때까지 노동을 해 주어야 되는 것처럼
가령 돼지처럼 먹고 자는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고 돼지와 같은 업(행위)을 부지런히 연습했다면, 그 사람이 다음생에 어떻게 다시 인간 몸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자신이 지은 행위(업력)에 따라 중음의 경계에서, 그 사람은 돼지의 우리와 돼지의 몸이 마치 호화찬란한 집과 사랑스런 사람들로 보이게 되어, 돼지의 태를 쫓아 들어가 결국 돼지의 껍질을 뒤집어쓰고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개 같은 마음을 연습하면 개의 껍질을 뒤집어쓰게 되며, 독사 같은 마음을 연습하면 독사의 껍질을 뒤집어쓰는 것이다. 모든 만법은 '일체유심조' 라 천당도 자신의 마음이 만들어 내고 지옥도 자신의 마음이 만들어 내는 법이다.
두 번째는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중생들이 삼악도에 떨어지는 것은 너무나 쉽고 인간 몸은 받기가 너무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고자 한다면, 최소한 5계를 지켜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고르의 기도 (0) | 2016.08.29 |
---|---|
권태로움 (0) | 2016.08.21 |
공부하다 죽어라 (0) | 2016.07.11 |
하고싶은 일, 갖고싶은 것 (0) | 2016.06.28 |
빗소리가 참 조으다 (0) | 2016.04.16 |